Research
Research
+ Academic papers
지역재생을 위한 'D.I.Y. Spirit' 개념과 실행방식 연구 | 한국산학기술학회 | 2021.9
도시재생사업에서 유휴 국 · 공유지 활용의 ‘현장적 한계 | 한국산학기술학회 | 2021.8
‘Heritage Density Transfer’를 통한 건축자산 보존 방식 연구 | 한국산학기술학회 | 2021.7
지속가능한 대학 캠퍼스정책 및 플랜과 건축의 적용 특성 -UBC의 캠퍼스플랜과 CIRS 건물을 중심으로 | 한국산학기술학회 | 2020.12
빈 상가의 규모별 발생 현황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한국지역사회학회 | 2019.12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사회 실험적 컨테이너 활용특성 연구 | 한국산학기술학회 | 2018.6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계획을 위한 디자인샤렛 실행체계 연구 | 한국산학기술학회 | 2016.12
보행 친화적 대학교 캠퍼스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 충북여성과학기술인회 | 2016.10
충주시 구도심 공가 및 공점포의 현황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 2016
충주시 문화동 1960-80년 사이 단독주택 장식 다자인에 관한 연구 | 충북여성과학기술인회 | 2015.10
공공적 유휴공간 재생 계획과정의 특성에 관한 연구 | 한국산학기술학회 | 2015.3
서울 교외 소비지역 ‘건축의 스펙터클화’ 특성에 관한 연구 | 대한건축학회 | 2013.5
‘European Prize for Urban Public Space’의 참가작에서 나타나는 유휴지 활용 공공공간 재생방식 | 한국생태건축학회 | 2012.12
경직된 토지이용계획의 건축적 대응방식 및 한계에 관한 연구 | 대한건축학회 | 2012.11
21세기 가나자와 현대미술관의 제도적 공간의 비평적 특성에 관한 연구 | 대한건축학회 | 2012.10
도시설계의 건축설정에 따른 토지이용계획 유형 및 특성 | 대한건축학회 | 2012.9
+ Funded research
지방중소도시 스마트축소 거점 철도역 복합화 모델 및 기획 연구 | 한국연구재단 | 책임연구원 | 2022-2025 (진행중)
경기도형 역세권 고밀복합모델 개발 및 사업화방안 마련 용역 | 경기연구원 | 공동연구원 | 2024 (진행중)
뉴 컴팩트시티를 위한 경기도 역세권의 입체복합화 방안 연구 | 경기연구원 | 공동연구원 | 2024
경기 미래교육 파주캠퍼스 활성화 방안(개발분야) 마련 연구 | 경기도형 3C(Conversion, Complexation, Combination) 마을 공유형 실버타운 제안 | 경기도 | 정책과제 원고 | 2023
사회혁신실험을 활용한 지역활성화 사업실행 및 정책개선 | 건축공간연구원 | 외부연구원 | 2023
삶의 질 확충을 위한 경기도형 생활SOC 복합화 방안 | 경기연구원 | 공동연구원 | 2023
포천 신·구 도심 통합발전 방안 연구용역 | 경기연구원 | 공동연구원 | 2022-2023
지역경쟁력 강화를 위한 경기도 특별건축구역 운영방안 | 경기연구원 | 공동연구원 |2021
사회실험적용형 도시재생 체계 및 기법 개발 연구 | 한국연구재단 | 책임연구원 | 2017-2020
경기도 제2차 광역건축기본계획 수립 연구 | 경기연구원 공동연구원 | 2018
건축개념어 사전 | 참여연구원 | 한국예술종합학교 | 2011
일제시기 학교건축 기록물 콘텐츠 개발 | 국가기록원 | 참여연구원 | 2007-2008
대한주택공사 공동주택 기획 및 계획방식의 개선에 관한 연구: 설계자들의 요구사항을 중심으로 |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 책임연구원 | 2008.12
© Copyright 2023. Sustainability by Design Lab.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