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o | Class
Studio | Class
+ Teaching Philosophy
타-분야 융합 연구 및 프로젝트 경험과 건축학전공 프로그램의 대부분 교과목을 강의한 경험 기반의 도시·건축 통합(건축외연 확장) 관점 이론 강의
최근 이슈가 되거나 향후 건축의 전문영역으로 확장 가능성이 있는 주제를 적용한 다양한 분야 '적용' 또는 '통합형 건축설계' 스튜디오
건축설계설계스튜디오3 (2018-2021)
Theme: 도심 속 경사지 사회(지역)적 공유주택 모델 - “‘혼자’ 때로는 ‘같이’의 거주방식”(공간기획 통합형 건축설계)
다세대 및 다가구 주택, 연립주택, 아파트로 구분된 관습적 공동주택 유형은 최근 삶의 방식 변화와 함께 새로운 ‘시설’들을 요구하고 있다. 사회주택, 공유주택, 조합주택, 청년주택 등 같이 살아가는 방식의 새로운 커뮤니티 형태에 따라 공과 사가 명확히 구분되었던 공동주택의 공간유형도 다양화되고 있다. 특히, 도시재생사업 등 구도심의 정주인구 유입과 지역활성화에 대한 기여 등을 목표로 사업으로 만들어지는 공동주택들은, 기존 단절된 ‘Gated Community’가 아닌 독립되면서도, 때로는 ‘서로’ 또는 ‘지역’과 연결된 ‘Sharing Community’ 모습으로 복합 프로그램을 수용하게 된다. 이러한 현대적, 현실적 환경 및 요구 속에서 ‘혼자(oneself)’삶의 공간과 다양한 스케일에서 ‘같이ourself’삶의 공간이 가능한 커뮤니티 프로그램과 공동주택을 제안한다.
건축설계설계스튜디오4 (2018-2021)
Theme: 새로운 문화소비 프로그램 기획을 통한 '힙한' 복합문화공간 (환경친화 통합형 건축설계)
최근 새로운 세대의 문화소비 욕구가 다양해지면서 기존 건물유형과 설계방식으로 담지 못하는 새로운 문화공간이 요구된다. 따라서 건축가에게는 더이상 프로그램이 정해진 후 개입하는 과정이 아닌 공간기획과 통합,융합되는 설계방식과 타-분야와 커뮤니케이션 과정이 중요해진다. 본 설계스튜디오에서는 초기 도시 및 지역 리서치와 새로운 문화소비 트랜드 분석을 동시에 진행하여 프로그램을 기획한 후 파급력이 가장 강할 것으로 판단되는 사이트를 선정하여 설계를 진행한다. 이와 함께 최근 강화되고 있는 친환경설계의 기준을 학습하고 적용하기 위해서 친환경설계로 진행한다, 단, 기존 방식인 설비적 측면의 에너지 절감 계획이 아닌 대지의 자연적, 환경적, 기후적, 인공적 조건 등 특성을 고려하여 건물의 배치, 평면, 단면, 구조, 환경, 설비, 재료 등 복합적 측면에서 통합설계를 진행한다. 건축적 디테일과 재료(Materiel)에 대한 친환경관점에서 기술적 이해와 적용방법, 구축방법을 디자인하는 친환경 파사드 설계도 진행한다.
건축설계설계스튜디오5 (2023-진행 중)
'지방중소도시 스마트축소 거점 철도역 복합화 모델 및 기획 연구(한국연구재단)' 연계 도시건축통합설계스튜디오
Theme: 소멸위험도시에서 생존하기 위한 스마트 축소 역세권 계획(도시건축통합마스터플랜 및 주요 건물 건축설계)
2020년부터 출생아수에서 사망자수를 뺀 자연인구는 감소세로 돌아섰고, 지역에서는 인구유출, 저출산, 고령화, 4차 산업에 따른 일자리 감소로 지역소멸이 가속화되고 있다. 더이상 낙관적 인구 예측 속에 도시를 확장하던 성장·개발 패러다임은 유효하지 않으며 도시재생과 함께 압축도시, 입지적정화 전략이 필요하다. 즉, 스마트 축소를 통해 토지의 집약적 이용 및 시설의 연결사용, 빈 공간을 개발이전의 상태, 녹지화 등으로 전환하여 주민 수요에 따라 공간을 재배치, 재활용해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소멸위험도시에서 ‘역세권’은 주변 도시들과 문화(관광), 경제, 일자리 등을 연계·공유할 수 있는 스마트축소를 위한 거점이 될 수 있다. 도시가 역세권을 중심으로 탄생하고 확장되었듯이, 인구감소에 따른 축소는 역세권이라는 거점을 중심으로 다시 정리되고 재편되는 스마트 성장의 방향이 되어야 한다.
건축설계설계스튜디오6 (2023-진행 중)
Theme: 컨버젼(Conversion)을 통한 'OO'의 확장
이전의 사회, 경제 및 문화적 필요에 의해 건축된 건물을 둘러싼 상황과 컨텍스트가 변화하면서 새로운 요구를 수용한 공간과 용도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제거하고 새롭게 지을 것인지, 기존 것을 활용하거나 남겨서 확장할 것인지 상황은 여러 복합적인 요인과 관계에 의해 결정된다. 돈, 법, 기술, 수요자 니즈 등 여러 차원에서 검토되고 기획된다. 여기서 간과하지 않아야 하는 것은 건축은 자본과 정치, 제도 등과 무관하지 않다는 것이다. 공간의 생산은 미학적이고 독립적인 차원의 동인 보다 자본과 경제 및 정치적 상황에서 더욱 동기화하여 행위가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리모델링의 경우 그렇다. 새롭게 지을 경우 손해보는 부분이 있거나 그럴 경우 잃어버리는 것들을 고려하여 결정되고 진행된다. 따라서 리모델링은 단순히 역사적이고 미학적인 차원에서 고쳐쓰는 것을 넘어 현재와 근미래 시점에서 다르게 활용하는, 컨버젼(Conversion)하였을때 '무엇'을 키우고 확장하고자 하는 의도가 명확한 설계방식으로서 바라봐야 한다. 본 설계스튜디오 이러한 관점에서 학생들이 각각의 사이트과 기존 건물에서 이 'OO'을 명확히 찾아 리모델링 동기를 구체화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앞으로 사회에 나가 건축가와 건축사로서 활동하고 산업을 이끌 새로운 인재로서 학생들이 당면할 현실적인 프로젝트의 상황으로 이해하고 체험해 볼 수 있는 과정이다. 또한 최종 결과는 기본설계를 거쳐 실무도면과 제안서가 될 것이다.
지속가능성과건축 (2021-진행 중)
1987년 환경과 개발에 관한 세계위원회(WECD)의 ‘우리 공동의 미래’라는 브룬트란트 보고서에서 언급된 ‘지속가능한 개발’ 의 발표 이후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개념은 북미와 유럽 중심으로 다양한 분야의 상위개념으로 적용되며 우리나라에서도 대부분의건축과 도시 관련 정책, 방향에 근거한다. 단, 지속가능성은 모호하거나 추상적 개념만으로 또는, 친환경 기술로만 소급되어 구현되는 것이 아니다. 매우 실증적이고 실천적인 가치이며 도시와 건축을 만드는 과정에서 복합적이며 다층적으로 적용되어야 하고 결국 이용자의 라이프스타일 까지 영향을 주게 된다. 본 수업은 이러한 ‘지속가능성’과 연관된 실천 또는 실행계획과 활동들을 세분화하되 도시 및 건축의 현안에 맞춘 주제 강의를 진행한다. 도시, 행위(이용), 건축 층위를 나누어서 살펴보되 앞선 두 개 테마들은 결국 지속가능한 건축의 정책, 기획, 프로그램, 설계방식 등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기말과제 (디자인샤렛): 실제 지속가능한 도시와 건축을 만드는 과정을 실습하는 것으로서 우리 학교 캠퍼스에 대한 ‘지속가능성’ 적용 전략을 마스터플랜과 건축 리모델링 차원까지 적용하여 팀별로 작업 및 결과를 공유한다.
+ Teaching Experience
Full time | 국립한국교통대학교
건축설계스튜디오6 (4학년) | 2023 (2학기)
건축설계스튜디오5 (4학년) | 2023 (1학기)
건축설계스토디오4 (3학년) | 2018-2021 (2학기)
건축설계스튜디오3 (3학년) | 2018-2021 (1학기)
건축설계스튜디오10 (졸업실무설계) | 2014-2020 (2학기)
건축설계 스튜디오9 (졸업설계) | 2015-2020 (1학기)
건축설계스튜디오2 (1학년) | 2014 (2학기)
지속가능성과건축 | 2020-현재 (2학기)
현대건축연구 | 2015-현재 (1학기)
건축학개론 | 2015-2017 (2학기) / 2022 (1학기)
건물시스템 | 2017-2018 (2학기)
건축의이해 (교양과목) | 2017 (2학기)
건축작가연구(대학원) | 2020 (2학기)
건축기획스튜디오(대학원) | 2018-2019 (2학기)
건축계획론(대학원) | 2015 -2016 (2학기)
강의 과목 (2006-현재)
Part time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 현대건축 / 한국의현대건축 / 건축설계스튜디오 2학년 2학기 / 졸업설계 1,2학기 | 2009.9-2013.8
충남대학교 건축학과 | 건축설계스튜디오 2학년 2학기 | 2012.9-2013.2
단국대학교 건축학과 대학원 | 건축공간분석론| 2012.3-2012.9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 건축설계세미나 | 2008.9-2009.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학과 | 건축작품론 / 표현과기초 / 건축기초설계 | 2008.3-2010.8 / 20011.9-2009.2
숭실대학교 건축학과 대학원 | 건축론| 2008.3-2008.8
중앙대학교 건축학과(서울캠퍼스) | 건축설계스튜디오 1학년 2학기 | 2006.9-2007.2 / 2007.9-2008.2
강원대학교 건축학과 | 컴퓨터그래픽및실습 / 건축의장론 / 건축의이해 / 건축과 시지각 | 2006.3-2008.8 / 2009.3-2009.8
중앙대학교 건축학과(안성캠퍼스) | 건축조형론 | 2006-2009 (3월-9월)
© Copyright 2023. Sustainability by Design Lab.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