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ing
Writing
+ Books
생존 말고 성장하기-사무소를 회사로 카우는 마인드셋 | 2024 | 출간 준비중
소멸위험지역-역-역세권 | 2024 | 출간 준비중
도시재생 후진지 되지 않기 | 유룩출판 | 2020.2 / 브런치(Brunch)
건축 전공하고 이렇게 산다 | SPACETIME | 2018.9 (챕터)
물질의 집요한 해석으로 만들어진 공간은 사람들의 기억 속에 영원히 남는다. ‘디자인’된 ‘atmosphere’에서 사람들은 ‘신체’를 통해 ‘siteness’를 인식하기 때문이다. 2015년 7월 30일부터 8월 3일 까지 진행된Asian Rim International Seminar 2015는 역사적 ‘atmosphere’ 의 장소에서, 서로 ‘다른’ 사람들의 협력 ‘atmosphere’ 을 통해 지역의 ‘siteness’ 를 고민한 시간들이었다. 주체기관인 일본의 사가대학(Nobuo Mishima, Takafumi Arima, Yujin Hirase 교수와 27명의 학생들)과 한국의 한국교통대학교(최순섭 교수외 7명의 학생), 태국의 타마셋대학(Chaweewan Denpaiboon, Pawinee IAMTRAKUL 교수와 12명의 학생), 그리고 치앙마이 대학(Shummadtayar Umpiga와 학생9명)이 참여한 국제워크숍은, 4번의 특강, 2번의 프리젠테이션, 2번의 화합파티 등이 포함된 총 5일간 사가현 가시마시 의Hizen-hamashuku에서 진행되었다. Hizen-hamashuku는 Ariake-Sea의 동측에 면한 역사적으로 오래된 ‘atmosphere’를 간직한 마을이다. 에도시대부터 station town이었고400년된 Nagasaki Road와 Ariake-Sea로 흐르는 Hama-River를 포함한 lowland 지역이다. 빽빽한 오래된 집들(thatched house와 Igura style house)이 빽빽하게 들어서 있는 어부마을, 오래된 역전 마을, 사케마을로서 차별화 된다. 이 지역은 지난 20년간Mishima 교수와 NPO, 그리고 주민들이 마을의 자산을 지키고 활성화하기 위해 협력하여2006년에 두 역사보전 지역으로 지정되기도 하였다. 작년에 이어 올해로 두 번째로 진행된 워크숍 주제는 ‘Gate for traditional architectures preservation district’ 로서 두 역사보전 지역으로 진입하는 네 개의 구역에서 의미 있는 건축, 도시 또는 소프트웨어 디자인을 제안하는 것이었다. 워크숍 기간 동안 주민들, NPO, 시장, 부시장 등의 관의 적극적 지원과 사가대학 측의 노력이 융합되어 열린 마음으로 협력하는 ‘atmosphere’를 만들었다. 다른 생각들을 ‘공유-토론-합의’하려는 생산적 과정이 밤새도록 이어졌으며, 결과들은 자연스럽게 지역의 ‘siteness’를 포함하게 되었다. Hirase 교수가 Hizen-hamashuku에서 디자인의 고민들, ‘시간과 흔적의 물성들’ 의 ‘atmosphere’와 ‘siteness’ 의 드러냄과 같이, Asian Rim International Seminar 2015 또한 여러 층위의 잠재적 ‘atmosphere’와 ‘siteness’를 촉발한 ‘실천적’ 워크숍이었다.
+ Columns
[최순섭 칼럼]① 충주시 도시재생사업의 시작 - ‘협력과 신뢰’의 구축
[최순섭 칼럼]② 충주시 도시재생의 방향 - 혼재된 ‘시간’의 활용
[최순섭 칼럼]③충주시 도시재생의 확장 – 관심과 참여의 확대
[최순섭 칼럼]④충주시 도시재생대학의 의미 - ‘함께’하는 시너지의 발견
[최순섭 칼럼]⑤ 충주시 도시재생에서 ‘청년’의 역할 – ‘희생’ 보다 ‘상생’의 동기부여
[최순섭 칼럼]⑤ 충주시 도시재생에서 ‘청년’의 역할 – ‘희생’ 보다 ‘상생’의 동기부여
[최순섭 칼럼]⑦충주시 도시재생 ‘사업’의 시작 – 주민들의 ‘작당’이 시작되다.
[최순섭 칼럼]⑧충주시 도시재생 사업에서 주민협의체의 역할 – 의견의 ‘수렴자’와 ‘전달자’
[최순섭 칼럼]⑨충주시 도시재생 사업의 근황 – 함께 ‘작당’할 사람, ‘모집 중’
[최순섭 칼럼]⑩충주시 도시재생 사업을 포함하여 – ‘달라져야 살아난다.’
© Copyright 2023. Sustainability by Design Lab. All Rights Reserved.